티끌모아 주식/주린이 경제정리

[경제] 효용 극대화 문제란 무엇일까?

주린이경제이야기 2022. 5. 13.

효용의 극대화 문제라는 건 무엇일까? 개인의 소비하고자 하는 재화(돈) 의 조합을 해도, 역시 소비자의 재화는 한정적이니까, 이러한 과정을 수학적으로 나타낸것이라고 볼수 있는데 그 예를 한번 보도록 하자 

 

효용극대화문제

 

소비를 하는 소비자는 욕구가 무제한이다. 사실 내가 뭘 사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게 죄는 아니지 않는가 하지만, 우리세상에서는 재화 돈이 필요하다. 예산은 한정적이라서, 한정된 예산으로 구입을 해야하만 한다. 그 런 소비 묶음 중에서 본인의 최대의 효용이 되는걸 선택을 하는데, 이런 부분을 바로 최적 선택 이라고 하거나 소비자 균형이라고 한다. 

소비자의 선호를 효용 함수로 표기를 하면, 효용 극대화 문제라고도 한다.

 

이런 부분중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게 바로 이런것이다. 19,900원 짜리의 제품이 있다면, 21,000원 짜리 제품은 더 비싼 감이 있다. 사실 두개의 금액차이는 1100원 밖에 나지 않는다. 예산제약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써, 효용극대화를 한다고 하더라도, 예산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극대화 문제라고 볼수있다. 

최대한의 효용을 얻기위해서는 적절한 예산 제약을 두고 해야한다. 미세한 가격의 변동으로 위처럼 고객이 물건을 구매를 할 수 도 있고, 안할 수도있다. 그만큼 소비자의 선택은 연속적인 부분이 많다. 

댓글

💲 추천 글